함수
-
[Type Script] 함수에 타입 지정, 오버로딩(Overloading)Type Script 2023. 9. 27. 09:45
타입스크립트에서 함수에 타입지정을 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| 타입지정 먼저 아래처럼 간단한 함수가 있다고 해보겠습니다. function 함수(x){ return x * 5; } 함수(2) // 10 이런 함수에는 파라미터와 리턴 값에 타입 지정을 해줄 수 있는데 아래 코드처럼 타입을 지정해 주면 됩니다. function 함수(x :number) :number{ return x * 5; } 함수(2) // 10 이때 파라미터 타입 지정은 파라미터 옆에 적으면 되고, 리턴값의 타입 지정은 함수명() 오른쪽에 적으면 됩니다. 또한 함수를 만들 때 리턴값이 없는 함수를 만들 수 있는데 이럴 때 void라는 타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// 리턴값이 없을 때 void타입 function 함수(x :number..
-
[Java Script] 클로저(Closure)Java Script 2023. 8. 19. 22:17
자바스크립트에서 좀 어렵다고 생각하는 개념 중 클로저라는 것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. 그나마 쉽게 말하면 코드에서 함수가 선언될 때 그 유효범위(렉시컬 범위)를 기억하고 있다가, 함수가 외부에서 호출될 때 그 유효범위의 특정한 변수를 참조할 수 있는 개념이라고 합니다. | 예시 function count() { let a = 0; return function () { return a+= 1; } } const count1 = count(); console.log(count1()); // 1 console.log(count1()); // 2 console.log(count1()); // 3 이처럼 함수가 외부에서 호출되면 그 변수를 참조하여 값을 증가시킵니다. 또한 다른 변수로 또 호출하면 변수에 있는 값..